무엇인가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따릉이 API 살펴보기 본문
✅ WHAT IS API?
1. API란 무엇인가?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로 쉽게 말해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지키기로 한 약속, 시스템이다
마치 아메리카노를 가게에서 주문했는데 상큼한 에이드가 나오면 안되는 것 처럼, 공식 통화가 아닌 어린이 은행 통장으로 결제하면 안되는 사회적 시스템처럼...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정해진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2. API 작동 방식은?
[CREATE :신규 생성 / READ : 불러오기 / UPDATE : 수정 / DELETE : 삭제]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4가지 요청을 보낸다. 만약 배달 서비스 api가 있다면, 신규 주문 시 order.create 회원가입 시 member.create 등 다양한 주소가 생긴다
[CREATE - > POST / READ -> GET / UPDATE -> PATCH / PUT / DELETE -> DELETE]
너무 많은 api 주소가 생겨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RESTful API가 등장했다. CRUD를 하나의 주소로 관리하고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POST와 같은 인덱스 표(메소드)를 붙여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 실제 API 살펴보자
1. 서울 공공자전거 실시간 대여 정보 API 살펴보기 [링크]
서울시에서는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실시간 대여 정보를 오픈 API로 공개하고 있다.
약속된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요청하였더니 GET(RESTful) 방식으로 데이터를 불러옴을 확인할 수 있다. 따릉이 정류소 위치, 대여소 이름, 주차된 자전거 대수 등 따릉이 현황 데이터 정보를 보여준다.
.
위의 API는 GET 메소드만 이용이 가능한 주소이기에 다른 메소드를 활용하기는 불가했다.
사용자 외에 따릉이 정거장이라는 클라이언트가 바뀌는 정보를 POST, PATCH, DELETE 방식으로 보내주고 사용자는 따릉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따릉이 API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
- 내 위치 기반, 공공자전거 모아보기
날이 좋을 때는 자전거를 타고 퇴근하는데, 퇴근이 조금만 늦어지면 회사 주변에 따릉이는 텅텅 비어있는 경험이 있었다. 그럴 때는 다른 공유자전거 (UNICORN, 카카오 자전거 등) 서비스를 확인하거나 그냥 대중교통을 타곤 했다.
API를 이용한다면 따릉이 외에 다른 공유 자전거 (UNICORN, 카카오 자전거 등)의 정보를 통합해서 지도 서비스에 보여줘 각 어플을 모두 실행하며 비교하는 수고를 더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MB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Jira 탐방하기 (광고아님!) (0) | 2022.10.19 |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어쩔메타버스~ 태그룸 개선안 유저스토리로 제안하기 (1) | 2022.10.14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4가지 방식 (0) | 2022.10.07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IT 교육 명가 코드스테이츠, 랜딩페이지 프론트엔드 분석 (0) | 2022.10.06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가상의 판매 데이터로 고객 분석하기 (0) | 2022.10.04 |